본문 바로가기

항해9973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느슨한 타입의 동적 언어 ☑️ JavaScript의 자료형과 JavaScript만의 특성은 무엇일까 ? ✅ 느슨한 타입(loosely typed)의 동적(dynamic) 언어 1️⃣ 동적 타입 JavaScript는 느슨한 타입(loosely typed)의 동적(dynamic) 언어입니다. JavaScript의 변수는 어떤 특정 타입과 연결되지 않으며, 모든 타입의 값으로 할당 (및 재할당) 가능합니다. (예시) let foo = 42 // foo가 숫자 foo = 'bar' // foo가 이제 문자열 foo = true // foo가 이제 불리언 "모든 타입의 값"으로 할당 및 재할당이 가능하다는 말은 예시처럼 숫자의 타입으로도, 문자열로도, 불리언으로도 할당할 수 있다는 의미! * 불리언 : true, false 참 거짓 2️.. 2022. 7. 16.
[알고리즘] 2016년 문제풀이(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점) ✅ 요일 계산하는 법! 날수를 계산해서 나누기 7 = 나머지 값! 1일 경우 // 월요일 2일 경우 // 화요일 ----- 0일 경우 // 일요일 ✅ 예를 들어서 1년 1월 1일은 날수가 1일 % 7 = 나머지 1 1일이니까 // 월요일 여기서 헷갈리면 안 되는 것은 아예 처음인 1년 1월 1일로 설정했을 때 그렇다는 것이고 👌 여기서 2016년 1월 1일이 금요일이라고 했으니까 (원래) 1일 경우 월요일 // (현재) 몇일인지 + 4를 하면 금요일을 도출할 수 있다. 1월 2일은 날수 2일이고 2일 % 7 = 나머지 2 // 즉, 2 + 4는 6이니까 토요일을 산출할 수 있다. ✅ 제한조건보면 2016년은 "윤년"이다! 윤년 // 2월이 29일까지 있는 날 // .. 2022. 7. 16.
[알고리즘]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문제풀이(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문제 해결) 1. 'x만큼 간격이 있는' 알고리즘 문제풀이와 방법을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다. count를 나열해서 price와 곱하면 price만큼 증가하는 값을 표현할 수 있다. 2. 이 값에서 money를 빼면 된다. 3. 이 값이 0보다 크면 0을 return하기 (해결 방법) 👌 먼저 count 갯수 설정, count 는 자연수니까 1부터 시작 for(let i = 1; i 0 ? // return 할건데 answer가 0보다 크면 answer : 0 ; // answer는 0이라고 해줘, if 쓸 때처럼 해석하면 무리없이 해석 완료 ✅ 최종 코드 function solution(price, money, count) { var answer = 0; let total = 0; for(let i .. 2022. 7. 16.
[알고리즘] x만큼 간격이 있는 n개의 숫자 문제풀이(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문제풀이 생각) 1. x만큼 증가한다? 2. n개의 리스트를 끌어낸다. (해결 방법) 1. n의 제한 조건을 보면 1000이하인 "자연수"라고 한다. 그럼 n만큼 반복해서 나열할 때, n은 1부터 시작하면 된다. 👌 for(let i=1; i 2022. 7. 16.
[알고리즘] 핸드폰 번호 가리기 문제풀이(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문제풀이 생각) 1. "*"을 길이만큼 반복하면 될 것 같다. 2. 뒤에 4개를 분리하는 방법 찾기! 👌 "*".repeat(phone_number.length - 4) 앞에 길이는 뒤에 4개를 뺀 것! phone_number의 길이에서 뒤에 4개를 빼고 나머지는 "*"로 반복하기 👌 phone_number.slice(-4) 뒤에 4개를 분리하는것! 1) slice(1) // 이렇게 양수로 쓰면 앞에서부터 1개 분리 이런식 2) slice(-1) // 음수로 쓰면 뒤에서부터 1개 분리 👌 "*".repeat(phone_number.length -4) + phone_number.slice(-4) 뒤에 4개를 뺀 길이만큼 * 로 변환한 값과 뒤에 네 개를 분리한 값을 더해주면 완성! ✅ 최종 코드 func.. 2022. 7. 15.
[알고리즘] 평균 구하기 문제풀이(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문제풀이 생각) 1. arr의 길이가 1이상, 100이하이니까 for(let~~) 구문으로 arr을 정의하자 2. {1,2,3,4}의 결과값이 2.5이니까 arr의 내용을 다 더하고 길이로 나눠주면 될 것 같다 👌 for(let i=0; i 2022.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