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풀이 생각)
1. arr의 길이가 1이상, 100이하이니까 for(let~~) 구문으로 arr을 정의하자
2. {1,2,3,4}의 결과값이 2.5이니까 arr의 내용을 다 더하고 길이로 나눠주면 될 것 같다
👌 for(let i=0; i<arr.length; i++)
arr의 i 값을 정의해줬다.
👌 arr 값 더하기
sum+ = arr[i];
👌 sum이라는 함수가 나왔다. 그럼 처음에 변수값을 정의해줄 때, answer 말고도 sum도 정의해주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var answer = 0;
let sum = 0; // 추가
var와 let의 차이를 구글링 해보면
1) var = 중복으로 변수명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ar a = 100; var a = 200; 이런식으로 동일한 변수명을 사용할 수 있고 결론적으로 200을 도출해낸다.
2) let = 중복으로 변수명을 사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let a = 100; let a = 200; 이렇게 쓰면 에러가 발생한다.
단, 값을 재할당 할 수 있다.
let a = 100; a = 200; 이런식으로 재할당 하면 된다.
var answer = 0; 을 썻기 때문에 sum 은 let으로 변수값을 주었다.
👌 더한 것을 길이로 나누면 평균 값!
retrun answer = sum / arr.length;
✅ 최종 코드
function solution(arr) { var answer = 0; let sum = 0; for(let i=0; i<arr.length; i++){ sum += arr[i]; } return answer = sum / arr.length; } |
728x90
'알고리즘 스터디 > [프로그래머스] 연습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x만큼 간격이 있는 n개의 숫자 문제풀이(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0) | 2022.07.16 |
---|---|
[알고리즘] 핸드폰 번호 가리기 문제풀이(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0) | 2022.07.15 |
[알고리즘] 음양 더하기 문제풀이(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0) | 2022.07.15 |
[알고리즘] 없는 숫자 더하기 문제풀이(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0) | 2022.07.15 |
[알고리즘]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기 문제 풀이(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