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해9973

[리액트 React] 3주차 입문 주차 팀 과제 정리 1️⃣ 자바스크립트에서 유사배열과 배열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유사배열의 각 요소를 수정하고 싶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할까요? 👌 유사배열 배열은 여러 개의 값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순회 가능한 자료구조 유사 배열은 배열처럼 length가 있고, index로 프로퍼티 값에 접근할 수 있는 객체 (EX. NodeList) 유사 배열은 배열 메서드를 사용할 수 없다. 유사 배열을 수정하려면 Array.from 메서드를 사용해서 진짜 배열로 변경하고 배열 메서드를 사용하여 수정한다. 2️⃣ 부모 컴포넌트 A와 자식 컴포넌트 B가 있습니다. 컴포넌트 A는 state로 {name: "르탄이"}를 가지고 있고, 자식인 컴포넌트 B에게 name 값을 넘겨주었습니다. 컴포넌트 B는 받아온 name을 화면에 뿌려주고 있습니.. 2022. 7. 24.
항해99 2주차 WIL - ES5/ES6 문법 차이 항해99 2주차를 마무리하며 2주차에는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을 한 주간 풀었고 기본적인 React에 관한 내용을 정리했다. 솔직히 과제를 정리했지만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가 어렵고 과제가 여러부분 중복되는 부분이 있었음에도, 내용이 다 다른 것 같아서 헷갈렸다. 지금 3주차를 시작해서 하고 있는데 3주차는 더 어렵다. 큰일이다. 알고리즘 문제풀이는 거의 대부분 블로그로 기재해두어서 WIL 내용에는 제외하려고 한다. 2주차엔 팀장을 맡게 되어서, 알고리즘과 개인과제를 풀기 위한 스케줄링을 매일 밤이나 새벽에 해두고 다음 날 오전 9시에 팀 미팅을 통해 공유하였다. 하루 일정과 일주일 일정은 이런식으로 수정해두고 매일 해야 하는 목표치를 정해두고 완료했으면 블로그 링크를 달아두거나, 미해결한 부분은 기록해서 .. 2022. 7. 24.
[리액트 React] 기초반 강의 1주차 정리 ✅ 프로트엔드 기초 지식 1️⃣ 서버와 클라이언트 복습 👌 웹의 동작 개념 - HTML을 받는 경우 우리가 보는 웹페이지는 모두 서버에서 미리 준비해두었던 것을 "받아서", "그려주는"것이다. 🔹 브라우저가 하는 일 1) 요청을 보낸다. // 어디에 요청을 보낼까 ? : 서버가 만들어 놓은 "API"라는 창구에 미리 정해진 약속대로 요청을 보내는 것. EX) https://naver.com/ → 이것은 "naver.com"이라는 이름의 서버에 있는, "/"창구에 요청을 보낸 것이다. 2) 받은 HTML 파일을 그려준다. 👌 웹의 동작 개념 - 데이터만 받는 경우 항상 위 처럼 HTML만 내려주는 것이 아닌, 데이터만 내려 줄 때가 더 많다. 사실 HTML도 줄글로 쓰면 이게 다 데이터인 것! 만약, 공연.. 2022. 7. 22.
[알고리즘] 시저 암호 문제풀이(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 대문자와 소문자가 있으므로, 변수로 값을 할당해주면 var upper = "ABCDEFGHIJKLMNOPQRSTUVWXYZ"; var lower = "abcdefghijklmnopqrstuvwxyz"; 👌 s의 i번째 자리수를 구해주어야 하므로 for(var i =0; i 2022. 7. 21.
[알고리즘]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 문제풀이(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풀기 전에 알아야 할 것) 1. replace(/a/g, b) : a를 b로 바꿔라 👌 zero : 0 ~ nine : 9 이므로 일단, 영어일 때 숫자로 바꿔줄 수 있는 replace 함수를 쭉 쓴다. s = s.replace(/zero/g,0 ) s = s.replace(/one/g,1 ) s = s.replace(/two/g,2 ) s = s.replace(/three/g,3 ) s = s.replace(/four/g,4 ) s = s.replace(/five/g,5 ) s = s.replace(/six/g,6 ) s = s.replace(/seven/g,7 ) s = s.replace(/eight/g,8 ) s = s.replace(/nine/g,9 ) 👌 지금 s는 문자열이다. 숫자로 바꿔줘야.. 2022. 7. 21.
[알고리즘] 소수 만들기 문제풀이(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 숫자 3개를 골라서 더 해주어야 하므로, i, j , l 모두 for문 돌려서 찾아야 한다. for(var i=0; i 2022.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