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99 2주차를 마무리하며
2주차에는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을 한 주간 풀었고 기본적인 React에 관한 내용을 정리했다.
솔직히 과제를 정리했지만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가 어렵고
과제가 여러부분 중복되는 부분이 있었음에도, 내용이 다 다른 것 같아서 헷갈렸다.
지금 3주차를 시작해서 하고 있는데 3주차는 더 어렵다. 큰일이다.
알고리즘 문제풀이는 거의 대부분 블로그로 기재해두어서 WIL 내용에는 제외하려고 한다.
2주차엔 팀장을 맡게 되어서, 알고리즘과 개인과제를 풀기 위한 스케줄링을 매일 밤이나 새벽에 해두고 다음 날 오전 9시에 팀 미팅을 통해 공유하였다.
하루 일정과 일주일 일정은 이런식으로 수정해두고
매일 해야 하는 목표치를 정해두고 완료했으면 블로그 링크를 달아두거나, 미해결한 부분은 기록해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해두니 하루 일정만 잘 해결해도 일주일동안 목표치를 모두 해낼 수 있었다.
아무래도 재택으로 집에서 공부를 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은 하루의 목표가 무엇인지와 계획, 그리고 그것을 해내느냐인 것 같다.
사실 알고리즘은 다소 해내기 쉬웠다.
지금 시작한 3주차가 조금 힘들고 나태해지고 있지만 나태해지기엔 목표량이 너무 많아, 또 주섬주섬 컴퓨터 앞에 앉아 강의를 보고 코드를 짜고 있다.
꼭 해내서 3주차도 잘 마무리하고 싶은데..!
✅ ES5 / ES6 문법 차이
1️⃣ let, const 추가
기존의 var 키워드는 함수 레벨 스코를 가지며, 암묵적 재할당이 가능했다.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블록 레벨 스코프를 가지며, 재할당이 가능한 let, const 키워드가 추가되었다.
2️⃣Arrow function 추가(화살표 함수)
보다 함수를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다.
// es5
function sum (a, b) {
return a + b;
}
// es6
const sum = (a, b) => a + b;
3️⃣ emplate literal 추가
`` 백틱 안에 ${} 표현식을 사용하여 문자열을 간편하게 쓸 수 있다.
// es5
var first = 'hong'
var last = 'gildong'
var name = 'My name is ' + first + ' ' + last + '.'
// My name is hong gildong.
// es6
const name = `My name is ${first} ${last}.`
// My name is hong gildong.
👌 결론
위 내용을 포함한 많은 것들이 2015년 ES6가 추가되었고 이후 JS가 더 발전되었다.
현재 ES10까지 나왔으니 여전히 ES6에 주목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찾다보니, 나랑 똑같은 WIL 주제를 썼던 항해99 수료생의 블로그를 참고하게 되었다.
반가우면서도 이 분은 현재 개발자를 하고 있을까 궁금하기도 했다.
'제니의 개발일지 > 개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99 TIL - 4주차 리액트 과제 시작 & 오늘 배운 새로운 것들 기록 (0) | 2022.07.31 |
---|---|
항해99 3주차 WIL - CRA, styled-components, 라우터, 리덕스 + 리렌더링 조건 (0) | 2022.07.30 |
항해99 1주차 WIL - 처음 만든 웹페이지 공유, JWT, API, 로그인 방식 구현하는 법 (0) | 2022.07.17 |
제니_항해99 스파르타코딩클럽 5주차 개발일지 (0) | 2022.06.28 |
제니_항해99 스파르타코딩클럽 4주차 개발일지 (0) | 2022.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