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리했었던 내용 복습
1️⃣ Closure란?
- 외부 함수에 접근할 수 있는 내부 함수 혹은 이러한 원리
- 자신을 포함하고 있는 외부 함수보다 내부 함수가 더 오래 유지가 될 경우, 외부 함수 밖에서 내부 함수가 호출되더라도 외부 함수의 지역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함수를 클로저라고 부른다.
-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를 리턴할 때 클로저를 형성하는데, 클로저가 형성될 당시의 함수와 함수가 선언될 때의 어휘적 환경의 조합(쉽게 말해, 당시의 관계되는 코드들)의 참조를 유지, 기억한다.
2️⃣ 자바스크립트의 호이스팅
- 코드가 실행되기 전의 변수 선언, 함수 선언이 해당 스코프의 최상단으로 끌어 올려진 것 같은 현상
- var 변수 선언, 함수 선언에서만 호이스팅이 일어나며 let, const 변수 선언, 함수 표현식에서는 호이스팅이 발생되지 않는다.
3️⃣ 프로세스 생성 과정
- PCB가 생성되며, OS에서 실행한 프로그램의 코드를 읽어 들여 프로세스의 할당된 메모리의 text segment에 저장한다.
- 초기화된 전역 변수, static 를 data segment에 할당한다.
- HEAP, STACK은 초기 메모리 주소만 초기화 된다.
- PCB에 여러 정보가 기록되면, Ready Queue에서 CPU를 할당받기까지 대기한다.
4️⃣ HTTPS
- 먼저 http란, 웹 브라우저(client)와 서버간의 웹 페이지와 같은 자원을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통신 규약
- http는 텍스터 교환으로 바이너리 데이터로 되어 있는 것도 아니고 텍스트로 주고받기 때문에, 누군가 네트워크 통신 중 신호를 가로챈다면 내용이 노출될 수 있다.
- https는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암호화하는 SSL(Secure Socket Layer)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와 서버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규약
5️⃣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
- OSI 7 Layer중 4계층인 전송 계층에 속하는 중요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컴퓨터의 프로그램 간 데이터를 순서대로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